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2

RxSwift vs Combine - 무엇을 사용할 것인가? RxSwift와 Combine. 둘 다 iOS 개발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비동기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이죠. 그런데 어떤 것을 사용할 지 고민이 되어 자료를 찾아보다 RxSwift, Combine 둘 중에 어느 것을 공부해야 할까요 라는 네이버테크톡 영상자료가 있어 참고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중요한 부분은 Combine이 늦게 나왔지만 애플에서 만든 프레임워크이고 RxSwift의 장점을 대부분 갖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RxSwift는 Combine에 자리를 내주게 될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영상에서 발표하신 개발자 분만 아니라 iOS개발하시는 분들은 전반적으로 이에 공감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Combine의 지원버전이 iOS 13부터이므로 이제 최신 버전이 이제 갓 iOS15로 올라.. 2021. 10. 21.
[UIKit] Storyboard 탈출기 (1편) - Xcode에 스토리보드 없는 세팅하기 이번 글에서는 스토리보드에서 탈출하기 위해 가장 먼저 Xcode에 스토리보드 없는 세팅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작성버전 : Xcode 12.5.1) 우선 만든 프로젝트에서 타겟을 클릭하면 나오는 Deployment Info에서 Main Interface에 있는 Main 부분을 제거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부터 있는 Main.storyboard를 제거해 줍니다. (Move to Trash) 그 다음 Info.plist로 가서 Application Scene Manifest -> Scene Configuration -> Application Session Role -> Item 0 에서 Storyboard Name 키를 삭제합니다. ( 왜 없지? 하고 고민하신다면 테스트의 Info.plist.. 2021. 10. 19.
[UIKit] Storyboard 탈출기 (0편) 한동안 SwiftUI를 조금씩 공부하다 보니 코드로 이런 식으로 짜면 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 그 와중 UIKit으로 프로젝트를 하면서 스토리보드가 편하면서도..묘하게 지저분,,귀찮음,, 불편한 느낌이 들어 스토리보드를 탈출해 될 수 있는 한 코드로 UI를 짜보려 합니다. 그래서 공부하면서 배우는 점이 있으면 짤막짤막하게 정리하는 글을 Storyboard 탈출기 시리즈로 계속 업로드하려고 합니다. 이 시리즈는 WithoutStoryboard 태그로 찾을 수 있습니다. => Storyboard 탈출기 모아보기 이제 시작합니다! 아쟈자!! 2021. 10. 18.
Magic Number 피하기 이번 시간에는 Magic Number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매직넘버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magic number를 적게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Magic Number란 무엇인가?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프로그래밍에서의 magic number는 여러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번 글에서 이야기고자 하는 magic number는 하드코딩된 상수값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SwiftUI 파일이 있다고 하면, struct ContentView: View { var body: some View { Text("hello") .padding() .foregroundColor(.white) .background( Color(.gray) ) .cornerRadius(12.0) } }.. 2021. 10. 18.
메모리 주소공간(Code, Data, Stack) 알아두기 값 타입과 참조 타입을 공부하다 흘러흘러 메모리 주소공간에 대해 복습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메모리 주소공간이 무엇인지, 세부 영역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세부영역인 stack, heap이 차이가 무엇인지 간단히 적어보았습니다. 메모리 주소공간은 무엇인가? 주소란 메모리의 특정 위치를 말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운영체제는 프로세스 주소 공간(Process Address Space)을 메모리에 할당해주게 됩니다. 이때 할당해주는 메모리공간은 Code, Data, Stack, Heap 으로 나뉩니다. Code, Data, Stack, Heap 그럼 영역별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Code 해당 프로세스의 기계어 코드를 담고 있습니다. 컴파일 시에 영역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Data .. 2021. 10. 14.